전체

신용점수별 등급 알아보기

있는제도를 2021. 12. 20. 08:56

안녕하세요 혹시 신용점수가 무엇 인지 아시나요? 오늘은 신용점수별로 나뉘어 있는 등급에 관해 여러 이야기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21년 1월 전에는 원래 점수제가 아닌 신용등급제로 관리를 하고 있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신용 점수제가 도입이 되었죠, 그래서 해당 내용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신용점수별 등급

신용 등급제는 여러 많은 단점들이 있었는데요, 이제 이러한 단점들을 고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신용 점수제인데요.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기존 신용등급제의 경우 돈을 빌려주는 등급을 1등급부터 6등급까지 정해놓는데 이제는 은행마다 각자의 점수제를 매겨서 등급제가 가지고 있는 허점들을, 소위 말해 불이익이라고 하죠 그런 불이익 들을 어느 정도 해결하는 제도인 것입니다.

 

이제 점수별로 등급이 어떻게 매겨지나 궁금하실 텐데요 일반적으로 기준으로 삼는 큰 회사들이 있는데 그 회사들이 바로 nice, 와 kcb입니다 nice부터 차례대로 등급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용점수 올리는방법 알아보기

1등급-900~1000/2등급-870~899/3등급-840~869/4등급-805~839/5등급-750~804/6등급-665~749/7등급-600~664/8등급/515~599/9등급-445~514 마지막으로 10등급은 0~444로 정해져 있으며 kcb의 경우 1등급-942~1000/2등급-891~941/3등급-832~890/4등급 -768~831/5등급-698~767/6등급-630~697/7등급-530~629/8등급-454~529/9등급-335~453 마지막으로 10등급의 경우에는 0~334로 정해져 있습니다.

신용점수별 등급

이렇게 가장 기준으로 잡을 수 있는 두 가지 회사를 알아보았고 자신의 신용점수를 알아보신 뒤에 해당 등급표에 대입하셔서 자신이 어디 등급에 속하는지 체크해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체크를 해보려면 자신의 신용점수가 몇 점인지 아셔야 할 텐데요,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서 신용점수를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용점수 올리기 바로가기

첫 번째는 나이스 지킴이이고 , 두 번째는 올 크레디트입니다. 먼저 나이스 지킴이로 신용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소창에 [www.credit.co.kr]를 검색하셔서 나이스 지킴이 사이트에 접속해주세요. 그런 다음에는 간단한 절차들만 진행하시면 되는데 우측 상단에 체험하기 버튼을 눌러주시고 중앙에 있는 전 국민 신용조회 신청 버튼을 눌러 무료 신용조회를 신청해주시면 되는데요 그 후에는 신용등급을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두 번째로는 올 크레디트입니다 [www.allcredit.co.kr] 해당 사이트 주소를 주소창에 붙여넣기 해주세요. 이렇게 올 크레디트 사이트에 접속하셨으면 오른쪽 아래 부분에 있는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 버튼을 눌러서 들어가신 후 전 국민 무료 신용조회 열람 버튼을 클릭해 자신의 신용점수를 체킹 하시면 됩니다.

신용점수별 등급

또한 올 크레디트는 이렇게 자신의 신용점수를 조회하는 것 외에도 여러 가지 많은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니, 한 번 접속하셔서 신용등급도 확인하시고 여러 가지 서비스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혜택많은 신용카드 추천 바로가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 방법 이외에도 카카오톡을 이용한 신용정보를 조회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그 방법은 카카오톡 메인화면에 접속해주신 뒤 설정에 들어가셔서 pay 버튼을 클릭해주시고 서비스로 들어가시면 신용조회 버튼이 있을 텐데, 그 버튼을 누르면 신용등급을 간단하게 알아보실 수가 있습니다.

 

어찌 보면 제일 간단한 방법이라고 말씀드릴 수가 있겠네요. 이렇게 신용점수별로 등급에 대해서 여러 가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신용점수의 경우에는 나중에 머니를 빌릴일이 있을때 좋은 상품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관리를 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기 위해선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자신의 점수를 정확히 체킹 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전에는 자주 점수 조회를 할 경우 점수가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했었는데 11년 이후에는 연 3회 점수 조회를 실시해도 점수가 감소되지 않는 법이 생겨서 3회까지는 안심하고 이용하셔도 됩니다.

 

이렇게 점수를 체킹하고 평상시에 점수가 떨어지는 행동들을 자제하셔야 하는데 대표적으로 몇개월로 나눠내는 경우가 그렇습니다. 몇개워 나누어 내는 경우도 밀리게되면 점수가 떨어지게 되니 웬만하면 비추천드리는 방법입니다.

신용점수별 등급

신용점수의 경우 한 번 떨어지게 되면 올리는 것은 많이 힘들다고 합니다. 그러니 가능하면 체크카드를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하며 더욱 스마트한 소비생활을 통해 자금을 관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상 글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